장용영에서 대비교(大比較)를 행하다. 병조와 훈련도감ㆍ금위영ㆍ어영청ㆍ수어청ㆍ총융청 등 여러 영문에서 각각의 날짜에 중순(中旬) 시사방(試射放)을 행하여 논상하는 데 차등이 있게 하다.
이보다 앞서 중순에 본병(병조) 및 오영(五營)에서 각각 사포(射砲 : 활과 조총)의 기예를 시험하라는 명령이 있었다. 장용영에서는 대비교를 설행하여 장관과 장교, 장용위 선기대ㆍ팔색군(八色軍)ㆍ3초군(三哨軍)과 각 소(各所)의 각색군(各色軍)ㆍ잡색군(雜色軍), 우사 5초ㆍ좌사 5초, 병조의 호위 교졸을 춘당대에서 시험하였다. 향군이 있는 읍의 관교(官校)들은 각각 그 지방에서 시취토록 하였다. 병조에서는 장관ㆍ장교와 금군의 각색 표하군을 모화관에서 시험하였다. 훈련도감에서는 장관ㆍ장교와 마병ㆍ보병, 좌부 제초(諸哨)와 우부 제초(諸哨)를 모화관에서 시험하였다. 금위영에서는 장관ㆍ장교, 기사 별기위(騎士別騎衛) 및 각색 표하군을 남별영에서 시험하였다. 어영청에서는 장관ㆍ장교, 각색 표하군을 남소영에서 시험하였다. 수어청에서는 장관ㆍ장교, 각색 표하군을 모화관에서 시험하였다. 총융청에서는 장관ㆍ장교, 별파진(別破陣)의 각색 표하군, 북한 별파진(北漢別破陣)의 각색 표하군ㆍ승장교[僧校]ㆍ승군을 세마평(洗馬坪)에서 시험하였다. 명중한 수효로 분등하여 상을 내려주고 이때에 이르러 마쳤다고 아뢰었다.
○ 장용영 대장 행부사직 서유대(徐有大)는 유엽전에서 변 2중하여 어패 동개(御佩筒箇) 1부를 특별히 하사하였다. 장관으로 선기별장인 전 병사 조규진(趙圭鎭)은 유엽전에서 변 2중하여 표피(豹皮) 1령을 내려주었다. 액외 장용위인 한량 임성고(任聖皐)는 유엽전에서 변 3중하여 회시에 직부토록 하였다. 초관인 사과 이용(李溶)은 유엽전에서 관 1중 변 1중하고, 전 파총인 전 수사 조운행(趙雲行)ㆍ선기별장인 전 군수 민치신(閔致愼)ㆍ초관인 출신 조삼(趙蔘)ㆍ전 선전관 김영(金煐)과 신둔(申鈍)ㆍ전 초관인 선전관 김진정(金鎭鼎)은 유엽전에서 변 2중하여 각각 상현궁 1장씩 내려주었다. 전 초관인 도총 도사(都摠都事) 이종상(李宗祥)은 유엽전에서 관 1중하고, 파총인 전 병사 오의상(吳毅常), 전 파총인 전 부사 서영보(徐英輔), 초관인 훈련원 판관 김종혁(金宗爀), 전 군수 조두(趙㞳)ㆍ출신 공술조(孔述祖)ㆍ전 초관인 선전관 정주성(鄭周誠)ㆍ이경덕(李景德), 훈련 주부 장세통(張世統), 전 부사 오문상(吳文常), 전 경력 원의진(元毅鎭), 전 선전관 장현택(張鉉宅)ㆍ전우성(田遇聖), 가감관(假監官) 한량 왕도경(王道敬)은 유엽전에서 변 1중하여 각각 무명 1필씩 내려주었다. 초관인 전 우후 윤이동(尹頤東)은 기추에서 3중하여 가자하였다. 파총인 전 수사 정학경(鄭學畊), 초관인 출신 조삼(趙蔘)ㆍ이식(李栻)ㆍ공술조(孔述祖), 전 초관인 선전관 정주성(鄭周誠), 훈련 주부 장세통(張世統), 전 영장(營將) 이장욱(李長煜), 전 경력 강휘철(姜彙喆), 액외 장용위 한량 김시철(金時喆)은 기추에서 2중하여 각각 상현궁 1장과 화살대 100개씩 내려주었다. 초관인 훈련 판관 김종혁(金宗爀), 전 선전관 김영(金煐)ㆍ신순(申純), 전 군수 김처순(金處純), 전 초관인 선전관 김진정(金鎭鼎)ㆍ이경덕(李景德)은 기추에서 1중하여 각각 무명 1필씩 내려주었다. 액외 장용위인 한량 원영상(元永象)은 철전 1시와 2시에서 124보, 3시에서 128보를 하고, 신경(申絅)은 철전 1시에서 113보, 2시에서 127보, 3시에서 140보를 하고, 이형원(李馨遠)은 철전 1시에서 110보, 2시에서 123보, 3시에서 126보를 하여 모두 전시에 직부토록 하였다. 김시철(金時喆)은 철전 1시에서 112보, 2시에서 113보, 3시에서 103보를 하여 회시(會試)에 직부토록 하였다. 장교로 무사인 정헌 김창성(金昌盛)은 유엽전에서 3중하여 아마첩 1짝을 내려주었다. 지구관인 한량 진동운(秦東運) 등 11인은 유엽전에서 변 2중하여 각각 상현궁 1장씩 내려주었다. 지구관인 절충 김창인(金昌仁) 등 6인은 유엽전에서 관 1중하고, 지구관인 숭록 여종주(呂從周) 등 32인은 유엽전에서 변 1중하여 각각 무명 1필씩 내려주었다. 별무사인 한량 김순번(金順蕃) 등 3인은 기추에서 3중하여 각각 반숙마첩 1짝을 내려주었다. 지구관인 출신 천규석(千圭錫) 등 5인은 기추에서 2중하여 각각 상현궁 1장과 화살대 100개를 내려주었다. 교련관인 출신 한흥복(韓興復) 등 17인은 기추에서 1중하여 각각 무명 1필씩 내려주었다. 교련관인 숭록 김득원(金得源)은 별기(別技)에서 상중(上中)을 얻어 무명 1필을 내려주었다. 교련관인 출신 한흥복 등 6인은 별기에서 상하(上下)를 얻어 각각 베 1필씩 내려주었다. 장용위인 한량 조윤문(趙允文) 등 2인은 유엽전에서 관 1중 변 2중하여 전시에 직부토록 하였다. 숭정 육중수(陸重秀)는 유엽전에서 관 1중 변 3중하고, 자헌 고용득(高龍得) 등 2인은 유엽전에서 변 4중하여 모두 가자하였다. 정헌 신덕룡(申德龍)은 유엽전에서 관 2중 변 1중하여 숙마첩 1짝을 내려주었다. 자헌 한대순(韓大順) 등 3인은 유엽전에서 관 1중 변 2중하여 모두 변장에 제수하였다. 가의 안창적(安彰績) 등 10인은 유엽전에서 변 3중하여 각각 아마첩 1짝을 내려주었다. 절충 이유풍(李有豊)은 유엽전에서 관 2중하고, 절충 윤염징(尹冉澄) 등 3인은 관 1중 변 1중하고, 자헌 낭세룡(浪世龍) 등 17인은 유엽전에서 변 2중하여 각각 상현궁 1장씩 내려주었다. 가선 최성기(崔聖起) 등 2인은 유엽전에서 관 1중하고, 가의 유효달(柳孝達) 등 28인은 유엽전에서 변 1중하여 각각 무명 1필씩 내려주었다. 가의 안창적(安彰績) 등 2인은 기추에서 4중하여 모두 가자하였다. 자헌 한대순 등 7인은 기추에서 3중하여 각각 반숙마첩 1짝씩 내려주었다. 가의 배만근(裴萬根) 등 18인은 기추에서 2중하여 각각 상현궁 1장과 화살대 100개씩 내려주었다. 숭정 육중수(陸重秀) 등 39인은 기추에서 1중하고, 가선 최계도(崔誡道)는 별기에서 상중(上中)을 얻어 각각 무명 1필씩 내려주었다. 자헌 한대순 등 19인은 별기에서 상하를 얻어 각각 베 1필씩 내려주었다.
별교예(別較藝) 입격 : 장용위인 가선 조명재(趙命載)는 철전에서 200보를 얻어 모두 관서 제일과(關西第一窠)의 변장으로 차송케 하고, 6냥궁(六兩弓) 1장과 대전(代錢) 20냥을 내려주었다. 무사인 숭정 김광익(金光益)은 철전에서 160보에 모두 들어가[俱入] 대단군복차(大緞軍服次) 1건과 동개 1부를 내려주었다. 장용위인 가의 김효일(金孝逸)은 철전에서 150보에 모두 들어가 별조 마안(別造馬鞍) 1부를 내려주었다. 무사인 출신 정동진(鄭東鎭)은 철전에서 150보를 모두 들어가 쌀 1말과 무명 2필을 내려주었다. 장용위인 자헌 한대순 등 2인은 철전에서 150보에 모두 들어가 각각 쌀 1말을 내려주었다. 가선 김백련(金百鍊)은 은쟁반(銀錚盤)에서 1중하여 대전(代錢) 30냥을 내려주었다. 가선 최계도(崔誡道) 등 3인은 곤추(棍蒭)에서 1중하고, 출신 박동익(朴東翼) 등 2인은 청룡도(靑龍刀)를 운용(運用)하여 각각 무명 1필과 베 1필을 내려주었다. 자헌 한대순 등 3인은 청룡도를 능히 들어[能擧] 각각 무명 1필을 내려주었다. 절충 김경흥(金景興) 등 6인은 청룡도를 반쯤 들어[半擧] 각각 베 1필씩 내려주었다.
선기대의 사포(射砲)의 각 기예에서 입격한 273인에서, 마첩은 45짝, 승금(陞禁)은 27인, 무명 2필은 21인, 무명 1필과 베 1필은 2인, 무명 1필은 75인, 베 1필은 103인이다.
팔색군의 포예기(砲藝技) 입격한 452인에서 직부(直赴)는 1인, 마첩(馬帖)은 6짝, 금군으로 승진[陞禁]은 29인, 무명 2필은 28인, 무명 1필은 342인, 베 1필은 25인, 8두에서 9두로 오른 자[八斗陞九斗]는 16인, 7두에서 9두로 오른 자[七斗陞九斗]는 5인이다.
3초군(三哨軍)의 포예(砲藝)에서 입격한 377인에서 마첩은 1짝, 금군으로 승진[陞禁]은 23인, 무명 2필은 11인, 무명 1필은 225인, 베 1필은 40인, 8두승9두는 37인, 7두승9두는 40인이다.
각 소(各所)의 각색군(各色軍)으로 입격한 204인에서 마첩은 1짝, 금군으로 승진[陞禁]은 9인, 무명 2필은 6인, 무명 1필은 127인, 베 1필은 11인, 8두에서 9두로 오른 자[八斗陞九斗]는 31인, 7두에서 9두로 오른 자[七斗陞九斗]는 2인, 7두에서 8두로 오른 자[七斗陞八斗]는 17인이다.
잡색군으로 포기(砲技)에서 입격한 20인에서 무명 2필과 베 1필은 1인, 무명 1필과 베 2필은 1인, 베 2필은 4인, 무명 1필은 4인, 베 1필은 10인이다.
배봉진(拜峯鎭)의 장교인 한량 김계성(金啓聲)은 유엽전에서 변 2중하여 상현궁 1장을 내려주었다. 가별장(假別將) 왕한정(王漢禎) 등 4인은 유엽전에서 변 1중하여 각각 무명 1필씩 내려주었다. 아병으로 포에 입격한 52인에서 무명 2필과 베 1필은 1인, 무명 1필과 베 1필은 2인, 베 2필은 5인, 무명 1필은 5인, 베 각각 1필은 39인이다.
노량진 별장인 김중옥(金重玉)은 유엽전에서 변 1중하여 무명 1필을 내려주었다. 아병으로 포에 입격한 14인에서 무명 1필은 2인, 베 1필은 12인이다.
향군이 있는 고을의 지방관
지평현감(砥平縣監) 이영철(李永喆)은 유엽전에서 관 2중하여 궁시 1부를 내려주었다. 고양군수(高陽郡守) 왕도상(王道常)은 유엽전에서 변 2중하여 궁전(弓箭) 1부를 내려주었다.
【향군이 있는 고을의】 장교
양근 무사인 출신 백흥옥(白興玉)은 유엽전에서 관 3중하여 가자하였다. 파주 장교인 사과 김진광(金震光)은 유엽전에서 관 2중 변 1중하여 전시에 직부토록 하였다. 양주 장교인 한량 김중엽(金重燁) 등 2인은 유엽전에서 변 3중 이상하여 모두 회시에 직부토록 하였다. 출신 조도엽(趙道燁)은 유엽전에서 변 3중하여 동개 1부를 내려주었다. 파주 무사인 출신 조영상(趙英祥)은 유엽전에서 관 2중하여 아마첩 1짝을 내려주었다. 양근 장교인 한량 노염환(盧冉煥) 등 2인은 유엽전에서 관 1중 변 1중하고, 절충 박이응(朴履膺) 등 14인은 유엽전에서 변 2중하여 각각 상현궁 1장씩 내려주었다. 양근 장교인 한량 박기찬(朴基贊) 등 5인은 유엽전에서 관 1중하고, 양주 장교인 전 권관(權管) 이희번(李喜蕃) 등 38인은 유엽전에서 변 1중하고, 박경렬(朴景烈) 등 2인은 편전에서 관 1중하고, 고양 무사인 출신 이주언(李胄彦) 등 3인은 편전에서 변 1중하여 각각 화살대 100개를 내려주었다. 파주 무사인 출신 김흥철(金興哲)은 기추에서 3중하여 가자하였다. 절충 호광적(扈光迪) 등 2인은 기추에서 2중하여 각각 상현궁 1장씩 내려주었다. 사원중(史元仲) 등 2인은 기추에서 1중하여 각각 화살대 100개씩 내려주었다.
좌사 5초의 사포(射砲)에서 입격한 72인에서 전시 직부는 1인, 무명 1필은 11인, 베 1필은 60인이다.
우사 5초의 사포(射砲)에서 입격한 426인에서 가자는 2인, 전시 직부는 8인, 회시 직부는 8인, 통개 1부ㆍ마첩 1짝ㆍ궁시 1부ㆍ상현궁 18장ㆍ궁전 1부ㆍ화살대 100개는 41인, 무명 1필과 베 1필은 19인, 무명 1필은 88인, 쌀 2말은 228인이다.
이상에서 전시 직부자 19인, 회시 직부자 11인, 가자 10인, 관서제1과 변장에 차송되는 자 1인, 변장에 제수되는 자 3인, 마첩 78짝, 금군으로 진급[陞禁] 89인, 어패통개는 1부, 표피 1령, 궁시 1부, 궁전 2부, 대단군복차 1건, 별조마안 1부, 동개 2부, 상현궁 170장, 화살대 132개, 부승9두(浮陞九斗) 80, 9승8두 59, 쌀 33석 6두, 전 59냥 6전, 무명 24동(同) 13필, 베 7동 17필이다.
호위군관인 한량 박교수(朴校秀)는 유엽전에서 관 1중 변 4중하고, 조홍제(趙弘濟)는 유엽전에서 변 5중하고, 이춘배(李春培)는 유엽전에서 관 2중 변 2중하고, 이두성(李斗星) 등 4인은 유엽전에서 관 1중 변 3중하고, 김종순(金宗淳) 등 2인은 유엽전에서 변 4중하고, 김명달(金命達) 등 2인은 유엽전에서 관 2중 변 1중하고, 김석두(金錫斗) 등 6인은 유엽전에서 관 1중 변 2중하여 전시(殿試)에 직부토록 하였다. 이동주(李東柱) 등 11인은 유엽전에서 변 3중하여 회시(會試)에 직부토록 하였다. 가선 이언춘(李彦春) 등 5인은 유엽전에서 변 3중하고, 출신 이창윤(李昌潤)은 유엽전에서 관 2중하여 동개 1부를 내려주었다. 이인영(李寅英) 등 21인은 유엽전에서 관 1중 변 1중하고, 출신 이인희(李仁禧) 등 54인은 유엽전에서 변 2중하여 무명과 베 각 1필씩 내려주었다. 출신 양종인(楊宗仁) 등 15인은 유엽전에서 관 1중하고, 절충 한운성(韓雲成) 등 104인은 유엽전에서 변 1중하여 각각 무명 1필씩 내려주었다.
호위청의 군병으로 포에서 입격한 19인에서 무명과 베 각 1필은 6인, 무명 1필은 13인이다.
이상에서 전시 직부자는 17인, 회시 직부자 11인, 통개 6부, 무명 4동 13필, 베 1동 31필이다.
【표5】장용영에서 대비교(大比較)를 행하다.
시상자 | 시험성적 | 시상내용 |
장용영 대장 행부사직 서유대 | 유엽전 변 2중 | 어패 동개 1부 |
장관으로 선기별장 전 병사 조규진 | 유엽전 변 2중 | 표피(豹皮) 1령 |
액외 장용위 한량 임성고 | 유엽전 변 3중 | 직부회시 |
초관인 사과 이용 | 유엽전 관 1중 변 1중 | 상현궁 1장 |
전 파총 전 수사 조운행ㆍ선기별장 전 군수 민치신ㆍ초관 출신 조삼ㆍ전 선전관 김영, 신둔ㆍ전 초관 선전관 김진정 | 유엽전 변 2중 | 상현궁 1장 |
전 초관 도총 도사 이종상 | 유엽전 관 1중 | 무명 1필 |
파총 전병사 오의상, 전 파총 전 부사 서영보, 초관 훈련원 판관 김종혁, 전 군수 조두ㆍ출신 공술조ㆍ전 초관 선전관 정주성ㆍ이경덕, 훈련 주부 장세통, 전 부사 오문상, 전 경력 원의진, 전 선전관 장현택ㆍ전우성, 가감관 한량 왕도경 | 유엽전 변 1중 | 무명 1필 |
초관 전 우후 윤이동 | 기추 3중 | 가자 |
파총 전수사 정학경, 초관 출신 조삼ㆍ이식ㆍ공술조, 전 초관 선전관 정주성, 훈련 주부 장세통, 전 영장 이장욱, 전 경력 강휘철, 액외 장용위 한량 김시철 | 기추 2중 | 상현궁 1장, 화살대 100개 |
초관인 훈련 판관 김종혁, 전 선전관 김영ㆍ신순, 전 군수 김처순, 전 초관 선전관 김진정ㆍ이경덕 | 기추 1중 | 무명 1필 |
액외 장용위 한량 원영상 | 철전 1ㆍ2시 124보, 3시 128보 | 직부전시 |
신경 | 철전 1시 113보, 2시 127보, 3시 140보 | 직부전시 |
이형원 | 철전 1시 110보, 2시 123보, 3시 126보 | 직부전시 |
김시철 | 철전 1시 112보, 2시 113보, 3시 103보 | 직부회시 |
장교 무사 정헌 김창성 | 유엽전 3중 | 아마첩 1척 |
지구관 한량 진동운 등 11인 | 유엽전 변 2중 | 상현궁 1장 |
지구관 절충 김창인 등 6인 | 유엽전 관 1중 | 무명 1필 |
지구관 숭록 여종주 등 32인 | 유엽전 변 1중 | 무명 1필 |
별무사 한량 김순번 등 3인 | 기추 3중 | 반숙마첩 1척 |
지구관 출신 천규석 등 5인 | 기추 2중 | 상현궁 1장, 화살대 100개 |
교련관 출신 한흥복 등 17인 | 기추 1중 | 무명 1필 |
교련관 숭록 김득원 | 별기 상중 | 무명 1필 |
교련관 출신 한흥복 등 6인 | 별기 상하 | 베 1필 |
장용위 한량 조윤문 등 2인 | 유엽전 관 1중 변 2중 | 직부전시 |
숭정 육중수 | 유엽전 관 1중 변 3중 | 가자 |
자헌 고용득 등 2인 | 유엽전 변 4중 | 가자 |
정헌 신덕룡 | 유엽전 관 2중 변 1중 | 숙마첩 1척 |
자헌 한대순 등 3인 | 유엽전 관 1중 변 2중 | 변장 제수 |
가의 안창적 등 10인 | 유엽전 변 3중 | 아마첩 1척 |
절충 이유풍 | 유엽전 관 2중 | 상현궁 1장 |
절충 윤염징 등 3인 | 관 1중 변 1중 | 상현궁 1장 |
자헌 낭세룡 등 17인 | 유엽전 변 2중 | 상현궁 1장 |
가선 최성기 등 2인 | 유엽전 관 1중 | 무명 1필 |
가의 유효달 등 28인 | 유엽전 변 1중 | 무명 1필 |
가의 안창적 등 2인 | 기추 4중 | 가자 |
자헌 한대순 등 7인 | 기추 3중 | 반숙마첩 1척 |
가의 배만근 등 18인 | 기추 2중 | 상현궁 1장, 화살대 100개 |
숭정 육중수 등 39인 | 기추 1중 | 무명 1필 |
가선 최계도 | 별기 상중 | 무명 1필 |
자헌 한대순 등 19인 | 별기 상하 | 베 1필 |
별교예 입격 : | | |
장용위 가선 조명재 | 철전 200보 | 관서 제일과 변장 차송, 6냥궁 1장, 대전 20냥 |
무사 숭정 김광익 | 철전 160보 | 대단군복차 1건, 동개 1부 |
장용위 가의 김효일 | 철전 150보 | 별조 마안 1부 |
무사 출신 정동진 | 철전 150보 | 쌀 1말, 무명 2필 |
장용위 자헌 한대순 등 2인 | 철전 150보 | 쌀 1말 |
가선 김백련 | 은쟁반 1중 | 대전 30냥 |
가선 최계도 등 3인 | 곤추 1중 | 무명 1필, 베 1필 |
출신 박동익 등 2인 | 청룡도 운용 | 무명 1필, 베 1필 |
자헌 한대순 등 3인 | 청룡도 능거 | 무명 1필 |
절충 김경흥 등 6인 | 청룡도 반거 | 베 1필 |
선기대 사포의 각 기예에서 입격한 273인 : |
선기대 사포 입격자 45인 | | 마첩 1척 |
선기대 사포 입격자 27인 | | 금군 승진 |
선기대 사포 입격자 21인 | | 무명 2필 |
선기대 사포 입격자 2인 | | 무명 1필, 베 1필 |
선기대 사포 입격자 75인 | | 무명 1필 |
선기대 사포 입격자 103인 | | 베 1필 |
팔색군 포예기 입격자 452인 : |
팔색군 포예기 입격자 1인 | | 직부 |
팔색군 포예기 입격자 6인 | | 마첩 1척 |
팔색군 포예기 입격자 29인 | | 금군 승진 |
팔색군 포예기 입격자 28인 | | 무명 2필 |
팔색군 포예기 입격자 342인 | | 무명 1필 |
팔색군 포예기 입격자 25인 | | 베 1필 |
팔색군 포예기 입격자 16인 | | 8두서 9두 올림 |
팔색군 포예기 입격자 5인 | | 7두서 9두 올림 |
삼초군 포예 입격자 377인 : |
삼초군 포예 입격자 1인 | | 마첩 1척 |
삼초군 포예 입격자 23인 | | 금군 승진 |
삼초군 포예 입격자 11인 | | 무명 2필 |
삼초군 포예 입격자 225인 | | 무명 1필 |
삼초군 포예 입격자 40인 | | 베 1필 |
삼초군 포예 입격자 37인 | | 8두서 9두 올림 |
삼초군 포예 입격자 40인 | | 7두서 9두 올림 |
각소 각색군 입격자 204인 : |
각소 각색군 입격자 1인 | | 마첩 1척 |
각소 각색군 입격자 9인 | | 금군 승진 |
각소 각색군 입격자 6인 | | 무명 2필 |
각소 각색군 입격자 127인 | | 무명 1필 |
각소 각색군 입격자 11인 | | 베 1필 |
각소 각색군 입격자 31인 | | 8두서 9두 올림 |
각소 각색군 입격자 2인 | | 7두서 9두 올림 |
각소 각색군 입격자 17인 | | 7두서 8두 올림 |
잡색군 포기 입격자 20인 : |
잡색군 포기 입격자 1인 | | 무명 2필, 베 1필 |
잡색군 포기 입격자 1인 | | 무명 1필, 베 2필 |
잡색군 포기 입격자 4인 | | 베 2필 |
잡색군 포기 입격자 4인 | | 무명 1필 |
잡색군 포기 입격자 10인 | | 베 1필 |
배봉진 장교 한량 김계성 | 유엽전 변 2중 | 상현궁 1장 |
가별장 왕한정 등 4인 | 유엽전 변 1중 | 무명 1필 |
아병 포 입격자 62인 : |
아병 포 입격자 1인 | | 무명 2필, 베 1필 |
아병 포 입격자 1인 | | 무명 1필, 베 1필 |
아병 포 입격자 2인 | | 베 2필 |
아병 포 입격자 5인 | | 무명 1필 |
아병 포 입격자 39인 | | 베 1필 |
노량진 별장 김중옥 | 유엽전 변 1중 | 무명 1필 |
아병 포 입격자 2인 | | 무명 1필 |
아병 포 입격자 12인 | | 베 1필 |
향군이 있는 고을의 지방관과 장교 |
지평현감 이영철 | 유엽전 관 2중 | 궁시 1부 |
고양군수 왕도상 | 유엽전 변 2중 | 궁전 1부 |
양근 무사 출신 백흥옥 | 유엽전 관 3중 | 가자 |
파주 장교 사과 김진광 | 유엽전 관 2중 변 1중 | 직부전시 |
양주 장교 한량 김중엽 등 2인 | 유엽전 변 3중 | 직부회시 |
출신 조도엽 | 유엽전 변 3중 | 동개 1부 |
파주 무사 출신 조영상 | 유엽전 관 2중 | 아마첩 1짝 |
양근 장교 한량 노염환 등 2인 | 유엽전 관 1중 변 1중 | 상현궁 1장 |
절충 박이응 등 14인 | 유엽전 변 2중 | 상현궁 1장 |
양근 장교 한량 박기찬 등 5인 | 유엽전 관 1중 | 화살대 100개 |
양주 장교 전 권관 이희번 등 38인 | 유엽전 변 1중 | 화살대 100개 |
박경렬 등 2인 | 편전 관 1중 | 화살대 100개 |
고양 무사 출신 이주언 등 3인 | 편전 변 1중 | 화살대 100개 |
파주 무사 출신 김흥철 | 기추 3중 | 가자 |
절충 호광적 등 2인 | 기추 2중 | 상현궁 1장 |
사원중 등 2인 | 기추 1중 | 화살대 100개 |
좌사 5초 사포 입격자 72인 : |
좌사 5초 사포 입격자 1인 | | 직부전시 |
좌사 5초 사포 입격자 11인 | | 무명 1필 |
좌사 5초 사포 입격자 60인 | | 베 1필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426인 : | |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2인 | | 가자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8인 | | 직부전시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8인 | | 직부회시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1인 | | 동개 1부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1인 | | 마첩 1척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1인 | | 궁시 1부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18인 | | 상현궁 1장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1인 | | 궁전 1부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41인 | | 화살대 100개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19인 | | 무명 1필, 베 1필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88인 | | 무명 1필 |
우사 5초 사포 입격자 228인 | | 쌀 2말 |
호위군관 한량 박교수 | 유엽전 관 1중 변 4중 | 직부전시 |
조홍제 | 유엽전 변 5중 | 직부전시 |
이춘배 | 유엽전 관 2중 변 2중 | 직부전시 |
이두성 등 4인 | 유엽전 관 1중 변 3중 | 직부전시 |
김종순 등 2인 | 유엽전 변 4중 | 직부전시 |
김명달 등 2인 | 유엽전 관 2중 변 1중 | 직부전시 |
김석두 등 6인 | 유엽전 관 1중 변 2중 | 직부전시 |
이동주 등 11인 | 유엽전 변 3중 | 직부회시 |
가선 이언춘 등 5인 | 유엽전 변 3중 | 동개 1부 |
출신 이창윤 | 유엽전 관 2중 | 동개 1부 |
이인영 등 21인 | 유엽전 관 1중 변 1중 | 무명 1필, 베 1필 |
출신 이인희 등 54인 | 유엽전 변 2중 | 무명 1필, 베 1필 |
출신 양종인 등 15인 | 유엽전 관 1중 | 무명 1필 |
절충 한운성 등 104인 | 유엽전 변 1중 | 무명 1필 |
호위청 군병 포 입격자 19인 : |
호위청 군병 포 입격자 6인 | | 무명 1필, 베 1필 |
호위청 군병 포 입격자 13인 | | 무명 1필 |